API

    [Spring Boot] Restful API 404 Found, html 출력

    [Spring Boot] Restful API 404 Found, html 출력

    이슈 최근에, Spring Boot를 initializr부터 직접사용해서 프로젝트를 만들어보고 있는데, 단순한 테스트용 Get API부터 호출이 안되고 404 Not Found가 떴다. 분명 제대로 만들 것 같은데...왜그런가해서 검색을 해보니 패키지 기본 경로 ex) com.demo.example 이 아래에 Controller및 Application 파일이 있지 않으면 찾지 못해서라고 한다. 하지만 나는 기본 경로 아래에 잘 작성한 것 같다고 생각되었다. 문제 & 해결 계속 Controller에서 이 경로로 못들어오는 줄 알았는데, 혹시나해서 프린트를 찍어봤더니 "hi"는 출력이 된다! 그럼 return "test"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아서 Not found가 뜬다는 것이다. 현재 "test"에 노란줄..

    Restful API란 무엇인가?

    이 또한 면접에서 질문받았던 내용인데, 이전에는 정말 잘 알고있다고 생각했는데 막상 질문을 받았을 때 Rest한 API가 되기 위한 규칙 외에 진짜 Restful API가 무엇인지에 대해 명확한 답변을 하지 못한 아쉬움에 다시 한번 정리해보고자 한다. RESTful API란? REST는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이다. REST API는 REST 아키텍처의 제약 조건을 준수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이다. 자원을 이름(자원의 표현)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정보)를 주고 받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 클라이언트, 서버 및 리소스로 구성되었으며 요청이 HTTP를 통해 관리되는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 데이터가 요청되어지는 시점에서 자원의 상태(정보)를 전..

    [Spring Boot] 카카오 로그인 API 구현 (2) - Access token으로 사용자 정보 가져오기

    [Spring Boot] 카카오 로그인 API 구현 (2) - Access token으로 사용자 정보 가져오기

    *만약 클라이언트 개발자가 따로 있다면 클라이언트 쪽에서 access_token을 전달해주기 때문에 이 포스팅부터 수행하면 된다. 만약 혼자 구현해야한다면 아래 글부터 진행하여 테스트할 수 있다. 카카오 로그인 API 구현(1) https://suyeoniii.tistory.com/79 [Spring Boot] 카카오 로그인 API 구현 (1) - Access token 발급받기 Spring Boot를 이용해서 카카오 로그인을 구현해보았다. Node.js로 구현할 때보다 복잡해보였는데, 구현하고 나니까 그래도 생각보단 덜 복잡했다! 동작 흐름 카카오를 이용한 소셜로그인 구현 Flow이 suyeoniii.tistory.com 이제 access_token을 받았으니, 이 token을 이용해서 카카오 서버에서..

    [Spring Boot] 카카오 로그인 API 구현 (1) - Access token 발급받기

    [Spring Boot] 카카오 로그인 API 구현 (1) - Access token 발급받기

    Spring Boot를 이용해서 카카오 로그인을 구현해보았다. Node.js로 구현할 때보다 복잡해보였는데, 구현하고 나니까 그래도 생각보단 덜 복잡했다! 동작 흐름 카카오를 이용한 소셜로그인 구현 Flow이다 이건 네이버도 비슷하다! Apple은 조금 다를 듯 1. 클라이언트 쪽에서 로그인을 한다 2. 카카오 서버는 redirect url로 code를 전달해준다 3,4. code를 이용하여 access_token을 발급받는다 5. access_token을 서버로 전송한다 6,7. 서버에서는 받은 access_token을 이용하여 카카오 서버에서 사용자 정보를 받는다 8. 받은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회원가입 또는 로그인을 진행한다 9. JWT등과 같이 사용자 식별 정보를 클라이언트로 보낸다 혼자 프론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