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GINX

    [Nginx] proxy pass 설정하기

    [Nginx] proxy pass 설정하기

    nginx기본설정으로 node.js, spring등의 서버를 3000번, 8000번 등으로 돌리게되면 http://ip주소:port번호 의 주소로 접속하게 된다. 이때 port번호를 일일히 써주지 않는 방법! 은 proxy_pass를 설정해주는 것이다. 특정 도메인 또는 ip로 접속했을때, 연결해줄 내부 포트번호를 명시해두면 매핑해주기때문이다. cd /etc/nginx/sites-available vi {서버설정파일이름} 적용할 서버파일을 열어준뒤 proxy_pass http://localhost:{port번호}; 위 이미지와 같이 location / 블록안에 port번호가 적힌 proxy_pass를 입력해주면된다. 기존에 있던 try_files $uri $uri/ =404;는 주석처리해준다. 끝

    [Nginx][EC2] 도메인 연결, https 적용, 서브도메인 설정

    [Nginx][EC2] 도메인 연결, https 적용, 서브도메인 설정

    새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또다시 반복되는 서버 세팅...^-^ 매번 같은 작업을 반복하다보니 따로 정리해두면 좋을거 같다고 생각이 들었다 도메인연결 가비아에서 도메인은 구입해둔 상태이다! 가비아에서 서비스관리 -> DNS툴을 들어간다 구매한 도메인 리스트 중, 연결할 도메인을 체크하고 DNS설정을 누른다 A레코드를 추가해준다 호스트에 각각 www, @를 입력하고, 값/위치에는 연결할 인스턴스의 ip주소를 적어준다 확인, 저장을 눌러준다. 이렇게 하면 domain.com과 www.domain.com이 사용가능하다 이제 Nginx에서 도메인을 설정해주자 etc/nginx/sites-available 경로에 들어가면 default라는 파일이 있다 default 파일을 사용해도 가능하지만, 한 인스턴스에서 여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