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pescript

    [Node.js][Typescript] node_modules/@types/express-serve-static-core/index.d.ts:745:13 - error TS1005: ';' expected.

    [Node.js][Typescript] node_modules/@types/express-serve-static-core/index.d.ts:745:13 - error TS1005: ';' expected.

    오랜만에 예전에 했던 Node.js + Express + Typescript 프로젝트를 실행했더니 여러 오류가 났다...!! 😵 node_modules/@types/express-serve-static-core/index.d.ts:745:13 - error TS1005: ';' expected. ... node_modules 안에서 오류가 난거라 패키지문제인데, 구글링을 통해 이 이슈를 찾았다. https://github.com/DefinitelyTyped/DefinitelyTyped/issues/62300 @types/express-serve-static-core/index.d.ts Typescript build error (version 4.17.31) · Issue #62300 · Definitel..

    [Javascript] const 변수 push(), pop()

    [Javascript] const 변수 push(), pop()

    개발 중, 배열1에서 배열2로 각 요속들을 옮기는 코드에서 당연히 let으로 빈 배열을 선언했는데, eslint error가 났다. push하는 코드가 있는데 왜 경고가 나지? const는 값 변경이 불가능한 것 아니었나? 라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const로 선언하고 push(), pop()을 해도 잘 동작한다. 이유를 찾아보니, const는 선언과 동시에 할당이 이루어질 때 사용하는 것으로, 재할당이 불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는데 push(), pop()의 경우 배열을 다른 값으로 교체하는 것, 재할당하는 것이 아닌, 기존 배열 원본을 수정하는 것이므로 가능하다는 것이다. 배열은 포인터로 선언이 되어있는데, push, pop은 포인터를 바꾸는 것이 아닌 같은 포인터의 값만 변경시키는 것이다. +덧붙..

    [NestJS] .env사용하기

    환경변수를 사용하시 위해 Node.js에서는 dotenv를 사용하는데, NestJS에서 @nestjs/config를 사용하면 된다. (@nestjs/config에서도 내부적으로는 dotenv를 사용한다.) 1. @nestjs/config를 설치한다. $ npm i @nestjs/config 2. app.module.ts의 imports에 ConfigModule을 추가한다. app.module.ts import { Module } from '@nestjs/common'; import { ConfigModule } from '@nestjs/config'; @Module({ imports: [ConfigModule.forRoot()], controllers: [], providers: [], }) export..

    switch문 OR연산하기

    switch문을 쓸때 case부분을 OR 연산하고 싶을때 switch(value){ case 1: case 2: // do something break; ... } 이렇게하면 value가 1 또는 2인 경우에 실행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