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Nginx][EC2] 도메인 연결, https 적용, 서브도메인 설정

    [Nginx][EC2] 도메인 연결, https 적용, 서브도메인 설정

    새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또다시 반복되는 서버 세팅...^-^ 매번 같은 작업을 반복하다보니 따로 정리해두면 좋을거 같다고 생각이 들었다 도메인연결 가비아에서 도메인은 구입해둔 상태이다! 가비아에서 서비스관리 -> DNS툴을 들어간다 구매한 도메인 리스트 중, 연결할 도메인을 체크하고 DNS설정을 누른다 A레코드를 추가해준다 호스트에 각각 www, @를 입력하고, 값/위치에는 연결할 인스턴스의 ip주소를 적어준다 확인, 저장을 눌러준다. 이렇게 하면 domain.com과 www.domain.com이 사용가능하다 이제 Nginx에서 도메인을 설정해주자 etc/nginx/sites-available 경로에 들어가면 default라는 파일이 있다 default 파일을 사용해도 가능하지만, 한 인스턴스에서 여러..

    [Node.js] nvm으로 node버전 변경하기

    [Node.js] nvm으로 node버전 변경하기

    현재 nvm으로 설치된 node 버전 확인 nvm ls 현재 선택된 버전은 16버전이다 14버전을 설치해보겠다 nvm install v14 설치하면 자동으로 14버전으로 바뀐 것을 볼 수 있다 이미 설치되어있는 node버전으로 변경하려면 nvm use 14 16으로 변경하고 싶다면 nvm use 16을 하면된다 이전에 brew만으로 node를 설치하고 사용했었는데 old version인 14버전을 설치할 수는 있지만, 환경변수때문인지 node명령어가 실행되지 않았다 nvm으로 하면 바로 해결! 편하다 ^-^

    [Node.js] error: node sass version 6.0.0 is incompatible with ^4.0.0.

    [Node.js] error: node sass version 6.0.0 is incompatible with ^4.0.0.

    기존 React에서 기본 node-sass 버전이 4.0.0 이었는데 이게 설치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npm ERR! 1 error generated. npm ERR! make: *** [Release/obj.target/binding/src/binding.o] Error 1 그래서 6.0.0을 설치했더니 기존 코드가 6.0.0에서는 작동하지 않는듯 했다 error: node sass version 6.0.0 is incompatible with ^4.0.0. 그래서 4.0.0이나 5.0.0을 깔려고 했는데 그것도 안됨ㅠㅠ 보니까 Node버전 별로 지원하는 node-sass버전이 달랐다! 내 노드버전은 16버전이라 6.0.0만 지원하는 것이었다 node-sass 4.0.0버전을 사용해야하니 node를..

    [webpack] sh: /node_modules/.bin/webpack-dev-server: Permission denied

    [webpack] sh: /node_modules/.bin/webpack-dev-server: Permission denied

    과제로 truffle을 사용한 Dapp 실습을 하는거였는데, 제공된 폴더 안에 webpack이 포함되어 있었다 npm run dev를 수행했는데 상상도 못한 Permission denied가 떴다..! 해결방법 node_modules 폴더가 포함된 자료를 받아서 수행하는거였는데, 기존 node_modules와 package-lock.json을 삭제한 뒤 다시 npm i 를 수행하고 npm run dev를 수행하니 Permission denied없이 잘되었다!

    [AWS][EC2] ssh 접속 시 WARNING: UNPROTECTED PRIVATE KEY FILE! 에러

    [AWS][EC2] ssh 접속 시 WARNING: UNPROTECTED PRIVATE KEY FILE! 에러

    chmod 600 pem파일이름.pem .pem 파일을 처음 받은 뒤, ec2에 ssh접속을 하려하면 WARNING: UNPROTECTED PRIVATE KEY FILE! It is required that your private key files are NOT accessible by others. This private key will be ignored. Load key ".pem": bad permissions Permission denied (publickey). 위와 같은 경고 메세지가 뜨고 Permission denied라고 뜬다 .pem파일이 너무 open 되어 있다는 경고이다 터미널을 연 뒤, 해당 파일 경로에서 chmod 600 pem파일이름.pem 를 입력해주면 해당 권한으로 설정되어..

    [Node.js] Cookie 사용하기 🍪

    [Node.js] Cookie 사용하기 🍪

    쿠키란 웹브라우저에 저장할 수 있는 정보이다 자동로그인을 예로 들면, 자동로그인 시 브라우저에 쿠키를 저장하여 다음에 접속했을 때 쿠키가 있다면 로그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node.js + express환경에서 cookie를 사용해보겠다 생각보다 아주 간단하다 cookie 설정을 한 뒤, 필요한 시점에 cookie를 생성해주고, cookie를 확인해야할 때 확인하면 된다 ...! 쿠키 사용하기 npm i cookie-parser app.js var cookieParser = require('cookie-parser'); const app = express(); app.use(cookieParser()); 설정 끝! 이제 쿠키를 사용해주면 된다 쿠키 사용법 쿠키 주기 res.cookie(key,..

    [Node.js][Express] alert 창 띄우고, 페이지 이동하기

    alert창 띄우고 페이지 이동하기 res.write(""); res.write(""); javascript를 이용하면 가능하다 response로 데이터를 띄우는게 아닌, alert창을 띄우고 location을 설정해주면 된다! 페이지만 이동하기 return res.redirect("../view/notices") alert 사용 없이 redirect만 시킬거라면 위 코드도 사용가능하다

    [Node.js][ejs] ejs로 HTML checkbox check 여부 설정하기

    [Node.js][ejs] ejs로 HTML checkbox check 여부 설정하기

    ejs에서 받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checkbox 체크 여부를 설정하려 했다 원래 html check 박스 사용법은 체크 체크안됨 위와 같이 사용하면 된다. 하지만 checked위치에 ejs구문을 넣으니 %> 가 input의 닫는 태그로 인식되는 문제가 있었다 " "를 붙여봐도 여전히 인식이 되지 않아서 checked=checked와 같은 방식으로 ejs 데이터를 넣어주어야 했다 찾아보니 checked=checked, checked=1. checked=true와 같은 속성을 주어도 동작한다는데 난 checked에 unchcked, 0, false를 줘도 체크 안되는게 먹히지 않았다ㅜㅜ 결국 value를 ejs에서 받아온 데이터에 따라 check여부로 주고 value에 따라 checked속성을 변경하는 j..

    [Node.js][express] html에서 ejs 사용시 html태그로 인식 되는 문제

    기존에 위와 같이 태그 사이에 ejs 데이터를 넣었을 땐 문제 없이 잘 동작했다 하지만 위와 같이 태그 속성에 ejs 데이터를 넣으면 맨 뒤에 %>가 닫는태그로 인식되는 문제가 있었다. 해결방법은 아주아주아주 간단했다 위와 같이 ejs부분을 따옴표로 감싸주면 잘 동작한다

    [Node.js][express] ejs로 서버에서 받은 JSON 데이터 보여주기

    [Node.js][express] ejs로 서버에서 받은 JSON 데이터 보여주기

    가끔 간단하게 Node.js에서 화면이 보여져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단순히 화면을 보여주기만 하는거라면 html 을 사용하면 된다. 하지만 node.js에서 구축한 서버에서 데이터를 받아 바로 뿌려주고 싶은 경우, 데이터에 따라 html이 동적으로 변하게 해야하는 경우에는 ejs, pug 등의 view engine을 이용하면 node.js에서 보낸 데이터를 보여주거나, html에서 반복문을 이용하는 등의 구현이 가능하다. 처음에는 pug를 더 선호했는데, html과 같지 않다보니 매번 찾거나 익숙해져야 사용이 편한 것 같다. ejs의 경우 html 문법에서, 일부만 ejs 로 대체하면 되기 때문에 훨씬 빠르게 적용할 수 있어서 더 선호하는 편이다! ejs 설정 먼저, node + express 환경이 ..